교실10년사

생명을 살리는 공학, 의공학교실

주요활동사항

1997
3월 1일 의공학교실이 개설되었고, 초대 의공학교실 주임교수로서 신경섭 교수가 임명되었다. 소속 교실원으로서 당시 방사선과학교실의 서태석 부교수, 최보영 부교수, 이형구 조교수로 편성되었다. 3월 5일 가톨릭대학원에 1997년 1학기 대학원 의공학 강의계획서를 제출하였다. 3월 19일 신경섭 교수와 서태석 교수는 강남성모병원 진단방사선과 판독실 및 응급실에 파이롯트 미니팩스 시스템을 설치하였다. 4월 28일 신경섭 교수와 최보영 교수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한 세계자기공명의학회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5월 1일 신경섭 교수, 최보영 교수, 이흥규 객원교수는 가톨릭의과학원 자기공명영상연구실에 가톨릭중앙의료원-(주)메디슨 산학협동 능동차폐형 전신용 3T MRI장비 Hardware 연구개발, 설치 및 뇌 MR영상 획득을 처음 시도하였다. 6월 신경섭 교수,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와 이흥규 객원교수는 3T MRI 장비 확인 차, 영국 Oxford에 방문하였다. 6월 서태석 교수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한 제3차 세계방사선수술학회에 참가하였다. 8월 22일 의공학교실에 대한 소개가 가톨릭중앙의료원 원보에 개제되었다. 9월 9일 의공학교실 발전계획서를 가톨릭중앙의료원장과 가톨릭의과학원장에게 제출하였다. 9월 14일 서태석 교수는 프랑스 Nice에서 개최한 WC1997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10월 1일 신경섭 교수,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는 경기대학교 이과대학 의학물리과정의 겸임교수로서 임명되었다. 10월 15일 의공학교실 전임 행정연구원으로서 염희연 양이 선임되었다. 11월 1일 서태석 교수는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11월 14일 이형구 교수는 미국 뉴멕시코에서 개최한 1997 Medical Imaging Conference, IEEE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11월 30일 최보영 교수는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한 북미방사선학회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3월 1일 김성현 군과 김태 군이 가톨릭의대 의공학교실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제 1회 가톨릭의대 의공학교실 입학생이 되었다.

초청강연으로 서태석 교수는 3월 7일 서울대 원자력공학과에서 “가톨릭의대 의공학교실 및 생체의공학연구소 소개”를 강의하였다. 최보영 교수는 8월 23일 전남대병원에서 “MRS: Current status in clinical applications”, 5월 21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 개원기념 국제학술대회에서 “Gadolinium-enhancement on fast spin-echo MR imaging”을 강의하였다. 이형구 교수는 12월 6일 한국과학기술원 Annual BMRC Symposium에서 “Amorphous Silicon Based Medical Imaging", 12월 7일 한국과학기술원에서 “Applications of Amorphous Silicon in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강의하였다.
1998
2월 9일 신경섭 교수와 서태석 교수는 강남성모병원 응급실에 구축한 가톨릭형 파일롯 미니팩스 시스템 개발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3월 1일 최보영 교수는 조교수에서 부교수로 승진하였고, 이형구 교수는 전임강사에서 조교수로 승진하였다. 3월 4일 신경섭 교수는 가톨릭 3T MRI 심포지움을 개최하였다. 이어서 가톨릭중앙의료원 주관으로 축성식이 개최되었다. 4월 18일 최보영 교수는 호주 시드니에서 개최한 세계자기공명의학회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4월 18일 가톨릭대학원내 의학과 의공학전공이 개설되었다. 5월 11일 서태석 교수는 미시간 엔아버에서 개최한 Symposium on Radiation Measurements and Applications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5월 18일 최보영 교수는 독일 괴팅겐 Max-Planch Institute의 MRI센터에서 초빙강사로 초대받아 강의하였다. 6월 26일 신경섭 교수와 최보영 교수는 MRI공동개발 관련하여 (주)한메 이흥규박사 등과 연구회의를 개최하였다. 6월 27일 운영위원 교정 투어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8월 13일 교실 HUB를 수리하고 교체하였다. 10월 1일 보복부 보건의료기술 G7 과제로서 국내 최초 방사선 암치료계획장치 개발을 위한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시스템 개발” 과제와 “투과선량을 이용한 방사선량의 확인시스템 개발”과제가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11월 7일 최보영 교수는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학회홈페이지 구축으로 우수창작상을 수상하였다. 11월 26일 신경섭 교수,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는 제 12차 가톨릭성의학술대회에 연제를 발표하였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백현만 박사과정 학생과 윤제웅, 최수경, 태기식, 하승훈 석사과정 학생들이 제 2회 가톨릭의대 의공학교실 입학생이 되었다.

초청강연으로 서태석 교수는 1998년 10월 27일 방사선 의학재단에서 주관하는“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 책임자 교육”과 경희대 원자력공학과에서 “방사선의 의학적 이용”을 강의하였다.
최보영 교수는 1998년 4월 9일 가톨릭의대 소아과학교실에서 “자기공명영상 및 분광법을 이용한 소아뇌질환 진단”, 1998년 6월 5일 고려의대 정신과학교실에서 “자기공명분광, SPECT, PET의 정신과학분야의 임상응용”, 1998년 11월 19일과 26일 각각 카이스트에서 “MRI의 원리 및 임상응용”과 “MRS의 원리 및 임상응용”1998년 12월 11일 제 12차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성의학술대회에서 “시각자극에 의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과 양성자 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후두엽 대뇌 피질에서의 대사물질변화”,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혈관조영촬영을 이용한 뇌정위적 수술시스템 개발”, “Neuronal laterality and postoperative changes of GABA activity in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by in vivo H-1 MRS”을 강의하였다. 이형구 교수는 1998년 10월 15일 카이스트에서 “Physics of Analog and Digital X-Ray Imaging" 을 강의하였다.
1999
1월 14일 캐나다,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의 Peter Munro 교수를 초빙하여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2월 26일 김성현 군과 김태 군은 석사학위를 취득하여, 명실공히 가톨릭의대 의공학교실 제 1회 졸업생이 되었다. 2월 28일 서태석교수는 시드니에서 개최하는 제4차 세계방사선수술학회에 참석하였다. 3월 27일 김성은 박사는 의공학교실 대우교원 위촉 발령을 받았다. 4월 30일 신경섭 교수는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 3T MRI 단계 개발 계획서를 제출하였다. 5월 1일 의공학교실 전임 포스닥으로서 강세권 박사가 선임되었다. 5월 6일 전임 행정연구원으로서 정은경 양과 하은혜 양이 선임되었다. 5월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자기공명전산화단층촬영장치 (MAGNUM 3T)가 의료용구 제조품목 허가증 (허가번호: 제 221호)을 획득하였다. 5월 15일 3T MRI용 건식레이저 카메라 구입을 요청하였다. 5월 22일 최보영 교수, 백현만 박사과정 학생, 하승훈 석사과정 학생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개최한 세계자기공명의학회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6월 12일 최보영 교수는 미국 알라바마 버밍햄대학에서 초빙강사로 초대받아 강의하였다. 8월 17일 Y2K 영향장비 사용가능 유무 확인서를 제출하였다. 8월 25일 신경섭 교수는 1997-9, 2년간 의공학교실 연구업적을 가톨릭의과학연구원장에게 제출하였다. 9월 1일 가톨릭의대 의공학교실은 BK21 1단계 핵심분야 “신기능 첨단 의료영상기기 개발” 사업팀으로 지정되어 향후 3년간 연구과제를 수행하게 되었고, 사업팀은 서태석 교수를 팀장으로 최보영 교수, 이형구 교수와 산부인과학교실 박종섭 교수로 구성되었다. 9월 2일 (주)메디슨 연구원들에게 가톨릭의과학연구원 출입증을 발급하였다. 9월 3일 신경섭 교수는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 자기공명영상연구실 평가자료를 제출하였다. 9월 15일 이형구 교수는 대한방사선의학회에서 감사장을 수상하였다. 11월 7일 신경섭 교수,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는 일본 치바에서 개최한 제 2회 한일의학물리학회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12월 15일 서태석 교수 교수는 (주)제이엠테크날로지와 “비정질 실리콘 디지털 방사선 촬영기의 특성분석 연구”에 관한 산학협동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다. 12월 20일 최보영 교수는 Barons Who's Who, The Asia 500 Leaders For The New Century를 수상하였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김현미, 박정훈, 신동훈, 이정애 석사과정 학생들이 입학하였고, 김성현 군과 김태 군은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또한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원 추명자 석사과정 학생과 경기대학교 자연과학대학원 조광한 석사과정 학생은 본 교실의 위탁교육을 받았다.

초청강연으로 서태석 교수는 1999년 4월 23일 의사협회 기념학술대회에서 “원격진료를 이용한 방사선수술 및 환자 모니터링”을 강의하였고, 1999년 KAIST 원자핵공학과에서 “Introduction to radiation therapy"를 강의하였다. 최보영 교수는 3월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제 15회 국제의료기기전시회에서 “Clinical values on 3T fMRI and MRS”, 12월 8일 가톨릭의대 내과학교실에서 “MRS의 SLE 환자응용”, 12월 10일 제 13차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성의학술대회에서 “Development of TEM head-size resonator for 3T MRI system”, “Metabolic changes in Parkinson diseases after functional neurosurgery by follow-up 1H MRS”, “Preliminary results on stereotactic brain biopsies under proton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ic images”를 강의하였다. 이형구 교수는 12월 10일 제 13차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성의학술대회에서 “Comparison of image quality of the amorphous silicon DR system and the film screen system”을 강의하였다.
2000
1월 14일 신경섭 교수는 경기대 대학원 의학물리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을 시행하였다. 2월 17일 코닥에서 MRI연구실에 DICOM을 설치하였다. 3월 1일 서태석 교수가 의공학교실 제 2대 주임교수로 임명되었다. 4월 1일 최보영 교수와 백현만 박사과정 학생, 하승훈 석사과정 학생은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서 개최한 세계자기공명의학회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5월 1일 BK21 연구 계약교수로서 박지영 박사가 BK21 연구기간 동안 임명되었다. 7월 15일 서태석 교수는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한 WC2000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10월 23일 서태석 교수는 (주)바이오메드랩과 “의료용 고에너지 X-선 영상장치 개발”에 관한 산학협동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다. 12월 1일 서태석 교수는 (주)테크벨리와 “의료용 소형 X-선 발생장치 및 영상 획득 장치 개발”에 관한 산학협동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다. 11월 15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3T MRI 임상을 위한 컨소시움 설명회가 개최되었다. 12월 1일 최보영 교수는 (주)아이솔테크날로지와 “1.5T MRI 장비 영상평가 및 임상응용”에 관한 산학협동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다. 12월 15일 서태석 교수는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보복부 보건의료기술 G7 과제로서 국내 최초 방사선 암치료계획장치 개발을 위한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시스템 개발”과 “투과선량을 이용한 방사선량의 확인시스템 개발”과제 결과물을 전시하였다. 12월 20일 이형구 교수는 Barons Who's Who, The Asia 500 Leaders For The New Century를 수상하였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박장연 박사과정, 송주영 박사과정, 이은정 박사과정 학생과 권수일 석사과정, 이한숙 석사과정, 김영호 석사과정 학생이 입학하였고, 윤제웅 군, 태기식 군, 하승훈 군은 석사학위를 취득하여 가톨릭의대 의공학교실 제 2회 졸업생이 되었다.

초청강연으로 최보영 교수는 2000년 2월 14일 강원도 홍천, 메디슨 동계워크샵에서 “The optimum parameter in 1.5T and 3.0”, 2000년 7월 13일 원주 오크벨리, 산업자원부 전자산업 전략기술개발사업 워크샵에서 “고자장 3.0T MRI 개발 및 임상응용”, 2000년 9월 26일과 10월 5일 각각 카이스트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원리 및 임상응용”과 “핵자기공명분광의 원리 및 임상응용”, 2000년 11월 15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3T 컨소시움 설명회”를 강의하였다.
2001
1월 1일 최보영 교수는 (주)메디너스의 자문교수로 위촉되었다. 1월 2일 자기공명영상연구실 전임 방사선기사로서 지희근 연구원이 선임되었다. 2월 20-21일 강원도 홍천 대명콘도에서 제 1회 의공학교실 동계워크샵 및 BK21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3월 1일 의공학교실 연구집담회가 매월 정기적으로 개최되기 시작하였다. 4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김상노 석사과정 학생은 한림의대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미세세기조절 방사선치료기법 실습을 수행했다. 4월 21일 최보영 교수와 백현만 박사과정 학생, 이은정 박사과정 학생은 스코틀랜드 글레스고우에서 개최한 세계자기공명의학회에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7월 22일 서태석 교수는 미국 유타 Salt Lake City에서 개최한 AAPM에 참석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7월 26일 서태석 교수는 Washington University 방사선종양학교실 Jason Sohn 교수와 “세기조절 방사선 치료에 대한 연구협약을 체결하고, 상호이해각서 (MOU)에 공동 서명하였다. 8월 9일 교실 주관으로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3T MRI 임상워크샵”이 개최되었고, 하바드대학의 유승식 교수, 플로리다 대학의 김희원 교수, 카이스트의 정관진 교수가 초청되었다. 8월 31일 신경섭 교수님의 정년퇴임식이 거행되었고, 명예교수로 위촉되셨다.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송주영 박사과정 학생은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 치료 정도관리 실습을 수행했다. 10월 20일 서태석 교수는 (주)아이솔테크날로지와 “골밀도 측정기 성능검사 및 연구”에 관한 산학협동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다. 10월 29일 의공학교실은 과학기술부 지정 국가지정연구실 (National Research Laboratory: NRL), 정식명칭 “방사선의공학연구실”(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 이형구 교수)로서 지정되어 향후, 5년 동안 방사선을 이용한 첨단의료기술 개발을 추진하게 되었다. 11월 1일 서태석 교수는 (주)서울씨엔제이에 “방사선치료계획장치”에 대한 기술을 이전하였다. 12월 15일 서태석 교수는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보복부 보건의료기술 G7 과제로서 국내 최초 방사선 암치료계획장치 개발을 위한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시스템 개발”과 “투과선량을 이용한 방사선량의 확인시스템 개발”과제 결과물을 전시하였다. 12월 20일 이형구 교수는 (주)IPS와 산학협동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다. 12월 23일 최보영 교수는 American Biographical Institute (ABI)에서 수여하는 International Diploma of Honor와 Distinguished Leadership Award를 수상하였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김성현 박사과정, 주라형 박사과정 학생들과 김상노 석사과정, 오승종 석사과정, 진호상 석사과정, 정광호 석사과정 학생들이 입학하였고, 박정훈 군과 신동훈 군이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초청강연으로 서태석 교수는 2001년 4월 19일 서울대 원자력공학과 콜로퀴엄에서 “방사선의 의료분야 응용현황과 전망”을 강의하였고, 2001년 4월 30일 일산백병원에서 “Optimization technique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past, present and future"를 강의하였고, 2001년 7월 3일 제 16회 원자력관리자 하계강좌에서 “원자력의 생명과학분야 응용”을 강의하였고, 2001년11월 18일 제2회 의학물리전문인 교육에서 “전자선 치료계획”을 강의하였다. 또한 최보영 교수는 2월 3일 서울 메리어트호텔에서 대한내과학회 류마티스분과위원회 연수강좌에서 “자기공명분광의 원리와 임상응용” 5월 24일 미국 Cardinal Stritch 대학 대표단의 방문 시 “3T MRI Development in Catholic Univ”, 5월 31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학술연구교류협정체결 시 “가톨릭 3T MRI 개발 현황”, 7월 5일 원주 오크벨리, 산업자원부 전자산업 전략기술개발사업 워크샵에서 “초고속 MRI 촬영법 개발 및 임상응용”, 8월 9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개최한 MRI 임상 심포지움에서 ”고해상도 뇌종양 MRI 영상 결과보고”, 10월 11일 연세대대학원 디지털영상학 특강에서 “기능자기공명영상학의 원리 및 임상응용”을 강의하였다. 이형구 교수는 서울 로터리클럽에서 “방사선 의료기술의 현황과 전망”, 10월 8일 방사선의과학연구소 주관 진단방사선과에서 “CR & DR 개발”, 11월 8일 원자력연구소 원자력 신과학 검출기 분야 세미나에서 “Current Status of Computed Radiography and Digital Radiography Systems”을 강의하였다.
2002
1월 1일 서태석 교수와 이형구 교수는 (주)메디너스의 자문교수로 위촉되었다. 1월 1일 BK21 연구계약교수로서 곽철은 박사, 허순영 박사가 BK21 연구기간 (2002-2003) 동안 임명되었다. 1월 1일-3월 31일 송주영 박사과정학생은 경희의료원에서 치료방사선과 실습을 수행하였다. 1월 15일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 이형구 교수는 (주)바이오테크21과 라식칼 개발에 대한 산학협동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다. 2월 1일 한국과학기술원 (카이스트) 대학원 강의교수로서 최보영 교수와 이형구 교수가 임명되었다. 2월 강원도 홍천에서 제 2회 의공학교실 동계워크샵이 개최되었다. 3월 1일 가톨릭대 의과대학 의공학교실의 내규를 개정하였다. (의공학교실 내규) 5월 이형구 교수는 (주)정원정밀공업에 “디지탈 방사선 영상기술”을 기술이전하였다. 6월 14일 교실주관으로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3T MRI 심포지움이 개최되었다. 6월 24일 서태석 교수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김선일 주임교수와 학술/연구 교류협정서를 체결하였다. 6월 26일 가톨릭중앙의료원과 (주)메디너스가 공동개발한 가톨릭 3T MRI장비가 보건복지부로부터 고가특수의료장비 (MRI) 설치승인을 받아 정식으로 병원장비로 등록되었다. 7월 12일 캐나다 캘거리 Tom Baker Cancer Center에 송주영, 정광호, 오승종 대학원생들이 연구회의 목적으로 방문하였다. 7월 15일 서태석 교수는 캐나다 캘거리 Tom Baker Cancer Center와 자매결연을 맺어 연구원 상호방문 및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7월 14-17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한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in Medicine (AAPM)에 주라형, 송주영, 정광호, 진호상, 오승종, 김상노 대학원생들이 논문 발표차 학술대회에 참가하였다. 7월 18일- 8월 8일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에서 진호상, 김상노 대학원생들이 Jason Sohn 교수와 공동연구 차 단기연수를 수행하였다. 7월 25일 서태석 교수는 (주)코메드-(주)루벤틱스와 “디지탈 X선 촬영기 정도관리 연구”에 관한 산학협동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였다. 8월 1일 이형구 교수는 (주)루벤틱스업에 “디지탈 방사선 영상기술”을 기술이전하였다. 8월 1일 이형구 교수는 (주)코메드에 “디지탈 방사선 영상기술”을 기술이전하였다. 9월 26-28일 경주 교육문화회관에서 제 3회 한일의학물리학회와 제2회 아세아-오세아니아 의학물리학회가 공동 개최되었으며 특히, 아세아-오세아니아 의학물리학회는 NRL 및 의공학교실 주관으로 개최하였다. 10월 대한방사선종양학회에서 송주영 박사과정학생 (서태석 지도교수)이 전시상을 수상하였다. 11월 대한의용생체공학회에서 오승종 석사과정학생 (서태석 지도교수)이 “Student Paper Competition"을 수상하였다. 11월 25일 최보영 교수는 하바드의대 McLean Brain Imaging Center의 Perry Renshaw 교수팀, 서울의대 정신과학교실 류인균 교수팀과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하였다. 12월 30일 가톨릭중앙의료원과 (주)메디너스가 공동개발한 가톨릭 3T MRI장비가 2002년 보건복지부 보건산업기술 우수기술경진대회에서 “초고속 핵자기공명 3T 진단기기기술개발”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상을 수상하였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정진범 박사과정 호동수 박사과정 학생과 김도일 석사과정, 유규은 석사과정, 이정우 석사과정, 장지나 석사과정, 정희창 석사과정 학생들이 입학하였고, 김현미 양과 이정애 양이 석사학위를 취득하게 되었다.

초청강연으로 최보영 교수는 6월 14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개최한 3T MRI 심포지움에서 “3T MR Spectroscopy ”, 10월 9일 연세대대학원 디지털영상학 특강에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학 개론”, 11월 23일 한양대에서 개최한 Cognitive Functional MRI and MRS 심포지움에서 “3T Functional MRI and MRS”, 12월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 연구발표회에서 “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파킨슨질롼의 조기 및 정밀진단법 개발”을 강의하였다.
2003
1월 2일 자기공명영상연구실 전임 방사선기사로서 박현미 연구원이 선임되었다. 2월 11일-2월 14일 정광호, 정진범 박사과정학생과 장지나 석사과정학생이 IDL 중급교육을 수료하였다. 2월 24일 서태석 교수와 최보영 교수는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의 교수팀과 기능적 영상에 대한 공동연구에 합의를 하였다. 3월 1일 서태석 교수는 임기 2년의 의공학교실 주임교수로 유임되었고, 가톨릭중앙의료원 PACS 공동구축 중앙운영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3월 1일 이형구 교수는 조교수에서 부교수로 승진하였다. 3월 7-8일 충북 단양 대명콘도에서 제 3회 의공학교실 동계워크샵이 개최되었다. 또한 2003년 국가지정연구실 연구결과 발표회도 동시에 개최하였다. 4월 26일 교실 홈페이지가 정식으로 구축되었다. 5월 1일 교실 전임 행정연구원으로서 신미순 양이 선임되었다. 5월 3일 최보영 교수는 가톨릭중앙의료원 10년 장기근속자 포상을 받았다. 5월 6일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 이형구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성의회관 건립기금 모금에 100% 참여하였다. 6월 1일 정진범 박사과정, 오승종 석사과정 학생들은 일본 교토에서 개최한 International Society of Radio-Surgery (ISRS)에 참석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6월 23일-7월 30일 주라형 박사과정 학생과 김도일 석사과정 학생이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에서 6주간 연수를 수행하였다. 7월 9일 서태석 교수와 최보영 교수는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의 Orhan Nalcioglu 교수팀과 “고자장 MRI 디지털 Mammo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협약을 체결하였다. 8월 진호상 학생은 가톨릭대 석사학위 취득 후, 과기부 우수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University of Florida 박사과정에 입학하게 되었다. 8월 23일 정광호 박사과정, 호동수 박사과정, 장지나 석사과정, 김상노 석사과정 학생들은 호주 시드니에서 개최한 WC2003 세계의학물리/의공학회에 참석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9월 1일 서태석 교수는 보건복지부 산하 방사선수술물리연구회의 초대회장으로 위촉되었다. 9월 1일 University of Florida의 Jatinder Palta교수를 초청하여 “Clinical consideration in IMRT planning and delivery"란 주제로 특강을 개최하였다. 9월 1일 서태석 교수는 University of Florida의 Jatinder Palta교수팀과 연구협약을 체결하였다. 9월 30일 2006 세계의학물리/의공학학술대회 (2006 World Congress of Medical Physics and Biomedical Engineering)에서 서태석 교수는 조직위원장으로, 최보영 교수는 전시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본 대회는 의학물리/의공학 분야에서 매년 3년마다 열리는 세계에서 가장 큰 행사로 약 100여 개국, 약 3000명의 국제 석학 및 전문가들이 모여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자리이며, 첨단 의료기기 개발품 및 시제품들이 동시에 전시되었다. 10월 30일 교실주관으로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가톨릭 고자장 3T MRI 심포지움”을 개최하여 University of Minnesota의 Thomas Vaughan교수와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의 Orhan Nalcioglu 교수를 초청강사로 초빙하였다. 국내연자로는 카이스트의 박현욱 교수, 고려대의 오창현 교수, 경희대의 이수열 교수가 각 연구기관의 연구현황을 소개하였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김상호 박사과정, 윤성익 박사과정, 정광호 박사과정 학생과 최경식 석사과정 학생이 입학하였다. 또한 백현만 군과 송주영 군이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김상노 군, 오승종 군, 정광호 군, 진호상 군이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초청강연으로 서태석 교수는 2003년 4월 4일 포항공대 기계공학과에서 “방사선을 이용한 첨단 의료기기 응용분야 소개”를 강의하였고, 2003년 9월 1일 University of Florida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가톨릭대학교 의공학분야 소개”강의하였다. 또한 최보영 교수는 4월 8일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빙강의에서 “첨단 진단방사선 의료기기 소개”, 10월 3일과 9일 각각 카이스트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원리 및 임상응용”과 “2차-3차 자기공명분광의 원리 및 임상응용”, 10월 8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RIBB Conference 특강에서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fMRI and MRS at 3T”, 10월 10일 보건복지부 지정 특정센터 워크샵에서 “고자장 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대사영상 신기술개발”, 10월 25일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심포지움 특강에서 “Present status of development of high field 3T MRI system in Korea”, 10월 30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개최한 가톨릭 고자장 3T MRI 심포지움에서 “Progress report of current projects in CMC 3T MRI”, 11월 5일 강원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춘천분소 준공식 및 Bioimaging 초청세미나에서 “Introduction of Functional MRI and in vivo MR Spectroscopy”, 11월 14일 과학기술부 원자력중장기연구개발사업 방사선의학분야 워크샵에서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의료영상 신기술 개발”을 강의하였다. 이형구 교수는 1월 7일 제1회 방사선 계측기술 워크숍 및 핵물리학교에서 “Technology of Digital Radiography, 2월 26일 국립대만대학병원에서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Digital Radiography”, 포항공대 바이오포럼에서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Digital Radiography”, 11월 6일 한국과학기술원에서 "X-ray 기초 및 Radiography"를 강의하였다.
2004
2월 29일 서태석 교수는 2004년도 과기부 원자력연구개발사업 평가위원으로 위촉되었다. 3월 1일 의공학교실은 임상교실에서 기초학교실로 편제가 변경되었다. 3월 1일 최보영 교수는 부교수에서 교수로 승진하였다. 3월 5-6일 강원도 설악산 대명콘도에서 제 4회 의공학교실 동계워크샵이 개최되었다. 또한 2004년 국가지정연구실 연구결과 발표회도 동시에 개최하였다. 3월 5일 백현만 박사는 의공학교실 공로패를 수상하였다. 4월 3일 과기부 지정 국가지정연구실 “가톨릭방사선의공학연구실” Newsletter 창간호가 출판되었다. 4월 5일 과기부 지정 국가지정연구실 “가톨릭방사선의공학연구실” 홈페이지가 구축되었다. 4월 7일-6월 23일 서태석 교수는 의료경영 아카데미 과정을 수료하였다. 4월 24일-5월 7일 정광호 박사과정 학생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Monte Carlo code 연수 및 심포지움”에 참석하였다. 5월 8일 제 1회 CMC-UF 의공학/의학물리 Joint 심포지움이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개최되었고 총 8명의 외국 교수들을 초청하였다. University of Florida에서 Jatinder Palta 교수, James Dempsey 교수, Vincent Frouhar 교수, Siyoung Kim 교수와 Washington University의 Daniel Low 교수, Case Western University의 Jason Sohn 교수가 초청강의를 하였다. 5월 11일 서태석 교수는 미국 Case Western Reserve대학과 최신 방사선치료기술 공동연구 및 연수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5월 14일 최보영 교수와 백현만 박사과정 학생은 일본 교토에서 개최한 세계자기공명의학회 (ISMRM)에 참석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5월 15일 정광호 박사과정 학생 (서태석 지도교수)은 국제 ICCR 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6월 30일-8월26일 정진범 박사과정 학생은 미국 Case Western Reserve대학에서 호흡을 고려한 인체내 방사선 계측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수를 수행하였다. 6월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 주라형 박사과정 학생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개최한 세계핵의학회 (SNM)에 참석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7월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 이형구 교수는 미국 피츠버그에서 개최한 북미의학물리학회 (AAPM)에 참석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7월-8월 정진범 박사과정 학생은 Case Western University, Jason Sohn 교수팀에서 “Moving organ 및 respiration gated radiation therapy" 연수교육을 받았다. 9월 8일 교실 수석행정연구원으로서 김혜림 양이 선임되었다. 9월 10일 정광호 박사과정 학생 (서태석 지도교수)은 제 3회 아시아-오세아니아 의학물리학술대회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하였다. 10월 8일 정광호 박사과정 학생과 라정은 박사과정 학생 (서태석 지도교수)은 대한방사선종양학회에서 우수전시상을 수상하였다. 11월 1일 교실 전임행정연구원으로서 박혜정 양이 선임되었다. 11월 24일 최보영 교수는 시카고 메리어트호텔에서 개최한 세계자기공명의학회 (ISMRM) 회장단/상임이사회에서 2012년 ISMRM 서울유치를 위한 Inviting 구연발표를 수행하였다. 11월 26일 주라형 박사과정 학생과 오승종 석사과정 학생 (서태석 지도교수)은 대한생체의용공학회/한국의학물리학회 공동학술대회에서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하였다. 11월 26일 서태석 교수는 대한생체의용공학회/한국의학물리학회 공동학술대회에서 연구지도상을 수상하였다. 12월 16일-2005년 2월 25일 정광호 박사과정 학생은 University of Florida에서 방사선 치료계획시스템 선량계산 알고리즘 검증에 관한 연수를 수행하였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김정석 박사과정, 김도일 박사과정, 박대섭 박사과정, 라정은 박사과정 학생과 김연래 석사과정, 노동욱 석사과정, 양희종 석사과정, 이정우 석사과정 학생이 입학하였다. 주라형 양이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김도일 군, 유규은 양, 이정우 군, 장지나 양이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초청강연으로 서태석 교수는 2004년 6월 3일 서울대 생체계측신기술연구센터에서 “Radiation Therapy의 최신 기술동향”을 강의하였다. 최보영 교수는 5월 8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개최한 제 1회 CMC-UF Joint 심포지움에서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3T MRI and MRS", 9월 11일 서울아산병원에서 개최한 연수교육 특강에서 “고자장 MRS의 펄스시퀀스 및 임상응용”, 9월 23일과 10월 7일 각각 카이스트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원리 및 임상응용”과 “핵자기공명분광의 원리 및 임상응용”, 10월 15일 서울 삼성병원에서 개최한 의학물리 연수교육 특강에서 “자기공명영상법의 정도관리”를 강의하였다. 이형구 교수는 3월 19일 산업자원부 주관 의료영상진단 시스템 기술세미나에서 “의료영상기술의 정의 및 발전동향”, 5월 4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세미나에서 "Introduction to Medical", 5월 8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 개최한 제 1회 CMC-UF Joint 심포지움에서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Digital Radiography", 12월 10일 특허청에서“영상진단기기의 기술동향 - DR을 중심으로”, 12월 13일 홍천 건강의료기기산업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포럼에서 “진단영상기기 기술동향 및 DR 기술 소개”를 강의하였다.
2005
3월 1일 최보영 교수가 제 3대 의공학교실 주임교수로 임명되었다. 4월 15일 서태석 교수와 이형구 교수는 한국의학물리학회에서 지도교수상을 수상하였다. 5월 17일 - 7월 20일 동안 윤성익 박사과정 학생이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에서 Perfusion, Diffusion 영상 개선방법 및 MRS 연구에 관한 연수를 수행하였다. 5월 7일 서태석 교수와 최보영 교수는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제 2차 CMC-UF 공동심포지움을 개최하고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5월 10 최보영 교수는 미국 플로리다 마이에미에서 게최한 세계자기공명의과학회에 참석하여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5월 31일 교실 홈페이지 (http:// bme-cmc.or.kr/main2/)가 제 1차 업그레이드되었다. 6월 27일 - 8월 20일 동안 정광호 박사과정 학생이 University of Florida, Gainsville에 연수를 수행하였다. 9월 1일 최보영 교수가 가톨릭대학원 생명의과학과 교육과정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9월 1일 - 2006년 8월 30일 동안 주라형 박사가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에서 PET/CT/MRI 영상정합융합에 관한 포스닥 연수를 수행하였다. 9월 30일 주라형 박사가 제4회 Japan-Korea Joint Symposium in Medical Physics에서 “Statistical analysis of degeneration and atrophy in the multiple system"로 전시상을 수상하였다. 10월 제 2차 의학과 교육과정위원회 회의 결과, 2007학년도 의학과 4학년 수요 오후강의 8주 동안 의공학개론 강의를 시행하기로 하였고, 의학과 3-4학년 임상실습 중, 선택심화과정 (5주)에 의공학실습을 포함하기로 하였다. 10월 7일 최보영 교수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차세대 자기공명장치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11월 포스텍-가톨릭대 의생명공학연구원 겸임교수로서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와 이형구 교수가 임명되었다. 12월 1일 의공학교실 교수들은 서울시 첨단의료영상기술 개발 혁신클러스터사업 “첨단의료영상기술 개발 혁신클러스터”사업팀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서울시 첨단의료영상기술 개발 혁신클러스트 사업은 서울대 핵의학과 이동수 교수팀을 주관책임자로 선임되었고. 중앙대 물리학과 이춘식 교수팀과 가톨릑의대 의공학교실 서태석 교수를 팀장으로 최보영 교수, 이형구 교수로 구성되었다. 12월 1일 서강대학교 기계의공학과 겸임교수로서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와 이형구 교수가 임명되었다. 12월 12일 - 2006년 2월 12일 동안 오승종 박사과정 학생이 University of Florida, Gainsville에서 kV CT를 이용한 IGRT 수행 시 환자 Setup 오차 비교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12월 20 서태석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우수교원상을 수상하였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이두현 박사과정 학생과 우동철 석사과정, 윤문현 석사과정, 홍승탁 석사과정, 홍주영 석사과정 학생들이 입학하였다. 최경식 군이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초청강연으로 서태석 교수는 4월 11일 한양대 원자력공학과에서 “의료분야에서의 방사선 활용”을 강의하였고, 4월 26일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에서 “방사선을 이용한 첨단 치료기기 응용분야 소개”를 강의하였고, 2005년 5월 7일 UF에서 “Image guided Application in Radiation Therapy"를, 5월 16일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에서 “Clinical Application using Multi-Modality Imaging"을, 6월 3일 강남성모병원 진단방사선과에서 “방사선의 인체영향 및 방어,차폐”를 강의하였다. 9월 16일 독일 뉴렌버그에서 열린 14th 세계의학물리학회 (ICMP)에서 “WC 2006 Seoul"을, 2005년 9월 17일 독일 뉴렌버그에서 열린 유럽의학물리학회 (EFOMP)에서 “World Congress 2006"을, 2005년 9월 29일에는 제4차 아시아 오세아니아 의학물리학회 및 제3차 한일의학물리학회 (AOCMP & JKMP)에서 ”Image-guided application in medical imaging and radiation therapy"를, 9월 30일에는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medical physics in south korea"을, 10월 1일 일본방사선보건원 (NIRS)에서 ”Image guided Application in Radiation Therapy“ 특강을 강의하였다. 최보영 교수는 3월 23일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생명과학부 특별강의에서 “Fundamental Theory and Applications of MRI”, 4월 25일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부 대학원 특별강의에서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3T fMRI and MRS”, 5월 23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과기부 원자력과제 의료영상물리 및 표준화기술 개발 워크샵에서 “다중기능영상 및 Spectroscopy 융합 기술”, 6월 25일 연세대 치과병원에서 개최한 연수교육 특강에서 “Basic Physics of MRI”, 7월 6일 제주도 스위트호텔에서 개최한 보건복지부 특정센터사업 기능대사영상센터 워크샵에서 “고자장 자기공명 대사영상 신기술 개발”, 8월 18일 강원도 속초 일성콘도에서 과기부 원자력 중장기사업과제 워크샵에서 “차세대 다중기능영상기술 개발”, 12월 23일 연세대 알렌관에서 개최한 과기부 원자력 중장기사업과제 워크샵에서 “PET/CT 융합영상기술 개발”을 강의하였다. 이형구 교수는 3월 4일 원자력연구소 세미나 " Radiation Measurement and Imaging in Medical Field ", 3월 10일 삼성서울병원에서 열린 대한디지털영상기술학회에서 "Flat Panel Digital Radiography ", 10월 8일 제40차 전국방사선사 종합학술대회 및 제1회 한국,대만,일본 공동학술대회에서“방사선 영상 처리기법”강의하였다.
2006
1월 1일 - 2월 28일 정진범 박사과정 학생은 서울의대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치료 임상기술 훈련을 수행하였다. 1월 6일 최보영 교수는 가톨릭의과학연구원 공간운영위원회 개별연구자 연구계획서 평가위원으로 위촉되었다. 2월 1일 서태석 교수는 MARQUIS Who's Who - Who's Who in Asia, Science, Engineering, Medicine에 선정되었다. 3월 1일 의공학교실 대학원생들의 평가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즉 장학금에 대한 수혜기준이 공평하고, 투명하게 수평 및 수직 평가 방식에 의해 본인의 업적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5월 1일 의공학교실 교수들은 BK21 2단계 대형과제분야 “신기능 첨단의료 영상기술 개발” 사업팀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사업팀은 최보영 교수를 팀장으로 서태석 교수, 이형구 교수, 산부인과학교실 박종섭 교수, 해부학교실 한승호 교수로 구성되었다. 5월 10일 서태석 교수는 Stanford 대학의 Lei Xing 교수와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에 관한 연구협약을 체결하고, 상호이해각서 (MOU)에 공동 서명하였다. 5월 15일 서태석 교수는 스승의날 기념,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상을 수상하였다. 6월 27일 - 8월 19일 동안 윤제웅 박사과정 학생이 Stanford University에서 4D CT를 이용한 Gated radiotherapy 와 Image Guided Radiotherapy에 대한 연수를 수행하였다. 8월 15일 서태석 교수는 북미의학물리학회(AAPM)에서 Poster of Special Merit을 수상하였다. 9월 6일 의공학교실은 가톨릭중앙의료원에서 2006년도 정기업무감사 결과 우수부서로 선정되었다. 9월 26일 서태석 교수는 한국과학재단 2006년 대표적 우수연구성과 50선 (원자력중장기사업)에 선정되었다. 10월 2일 - 11월 30일 주라형 박사는 한림의대 성심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세 방사선치료물리 실습을 수행하였다. 10월 15일 서태석 교수와 최보영 교수는 WC2006의 성공적인 개최로 한국의학물리학회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12월 5일 서태석 교수와 최보영 교수는 WC2006의 성공적인 개최로 WC2006 조직위원회에서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12월 20일 서태석 교수, 최보영 교수, 이형구 교수는 한국과학재단 2006년 대표적 우수연구성과 50선 (NRL)에 선정되었다.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 오승종 박사과정, 윤제웅 박사과정, 이정우 박사과정, 장지나 박사과정 학생들이 입학하였다. 김정석 군이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김연래 군과 이정우 군이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초청강연으로 서태석 교수는 2월 2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에서 “가톨릭대 연구내용 개괄”을 강의하였고, 4월 14일 전남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개설 2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에서 “Image guided Application in Radiation Therapy"를 강의하였고, 2006년 10월 20일 연세대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교실에서 “Image Guided Application in Medical Imaging and Radiation Therapy”를 강의하였다. 최보영 교수는 4월 27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한 과기부 차세대 바이오선도연구장비 개발 워크샵에서 “고자장 12T 동물용 자기공명영상 장비”, 8월 23일 경희대 수원캠퍼스에서 개최한 보건복지부 특정센터 기능대사영상센터 워크샵에서 “고자장 자기공명 대사영상 신기술 개발”, 10월 10일과 12일 각각 카이스트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원리 및 임상응용”과 “핵자기공명분광의 원리 및 임상응용”, 11월 16일 연세대 일렌관에서 개최한 과기부 원자력 중장기사업과제 워크샵에서 “기능적 대사영상융합 및 정량화와 다중 기능영상 재구성을 위한 알고리즘 및 분석기술 개발”, 11월 24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캠퍼스에서 개최한 차세대자기공명장치 이용자 워크샵에서 “Evaluation of metabolic alteration on depressed rat model by MRS”을 강의하였다. 이형구 교수는 1월 20일 제주대 익산방사선영상과학연구소에서 “Basic and hands on technologies for X-ray image optimization and enhancement”, 4월 17일 한화종합화학 전반적인 기술세미나에서“Advantage of Monochromatic X-ray Imaging”, 7월 3일 서울시 혁신클러스트사업 산학연운영위원회 및 정기모임에서 “Basic and hands on technologies for X-ray image optimization and enhancement”, 7월 21일 포항공대의 SBD-NCRC에서 “PIV용 디지털 방사선 영상 기술 개발”, 11월 6일 제주대 방사선응용과학연구소에서 “Basic and hands on technologies for X-ray image optimization and enhancement”를 강의하였다.